일본도, IOC도 올림픽 개최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 [이종성의 스포츠 문화&산업]

이종성 한양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 / 입력 : 2021.05.28 12:23 / 조회 : 4366
  • 글자크기조절
image
시민들이 도쿄 시내 일본올림픽위원회 앞에서 올림픽 개최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오는 7월 열릴 예정인 도쿄 올림픽 개최 여부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여전히 안개 속에 있다. 미국 국무부가 자국민들에 대한 일본 여행 금지 권고를 발표했고 일본 아사히 신문은 사설을 통해 올림픽 취소를 주장했다. 대만 프로야구는 예선전 참가를 보이콧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국민들의 건강보다는 올림픽 개최에 혈안이 돼 있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대회 개최 쪽에 여전히 무게를 두고 있다. IOC(국제올림픽위원회)도 일본 정부와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현실적으로 일본은 올림픽 개최를 포기할 수 없다. 개최도시와 IOC간의 계약관계상 개최를 포기할 경우 모든 손해배상을 일본이 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의 고민은 오직 일본인의 올림픽 관람을 어느 수준까지 허용해야 하는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올림픽 개최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곳은 사실상 IOC밖에 없다.

하지만 IOC도 웬만해서는 개최를 포기하기는 매우 어렵다. 기본적으로 도쿄 올림픽을 포기한다면 당장 내년인 2022년 2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동계 올림픽 개최 여부도 불확실해진다. 최악의 경우 두 번의 올림픽을 모두 취소하게 되면 IOC는 창설 이후 최대 위기를 맞게 될 게 자명하다.

image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 /AFPBBNews=뉴스1
여기에는 상업적 논리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다. 그 중에서도 전 세계 미디어에 이미 판매된 올림픽 중계권료는 IOC의 최대 수입원이다. 중계권료가 IOC의 전체 올림픽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73%이다. TOP로 불리는 올림픽 스폰서십 수입 비율이 18%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중계권료는 절대적이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이번 도쿄 올림픽 중계권료 판매액은 약 45억 달러(약 5조 287억 원)이다. 물론 이를 모두 IOC가 가져가는 것은 아니다. 그래도 70%는 IOC의 몫이다. 개최도시는 나머지 30%를 가져가게 된다.

IOC의 중계권료 수입 분배 비율은 1988년 서울 올림픽 때부터 바뀌기 시작했다. '흑자 올림픽'의 전형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1984년 LA 올림픽 때는 개최도시가 중계권료의 75%를 가져갔다. 당시 LA를 제외하면 올림픽 유치를 신청한 도시가 없는 상황이라 IOC는 대부분 개최도시의 의사에 끌려가야 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IOC는 이후 점진적으로 올림픽 중계권료 분배를 개최도시에 불리하게 변경했다. 지난 2012년 런던 올림픽 때부터 IOC는 중계권료의 70%를 챙기는 방식을 채택했다. 올림픽 중계권료가 천정부지로 오르기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IOC의 올림픽 중계권료 수입은 각 종목 국제기구에 분배되고, 전 세계의 균형적 스포츠 발전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들과 연계돼 활용된다는 게 IOC의 한결 같은 설명이다. 하지만 개최도시가 올림픽 개최로 가장 큰 경제적 부담을 져야 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중계권료 배분 비율은 비합리적이라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올림픽 수입 가운데 대부분은 IOC로 갈 수밖에 없다. 도쿄는 올림픽 주경기장 건설비용보다 적은 수준의 중계권료를 받게 된다. 때문에 도쿄는 로컬 스폰서십 명목으로 일본 기업의 후원에 의존해야 하고 올림픽 특수를 통한 해외 관광객 유치에 목을 맬 수밖에 없다.

image
도쿄 시내에 게시된 2020도쿄올림픽 배너. /AFPBBNews=뉴스1
하지만 이미 도쿄 올림픽은 코로나 팬데믹 확산 문제로 해외 관광객이 올 수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의 선수들이 건강 문제를 내세워 대회를 보이콧한다면 이번 도쿄 올림픽이 일본 전국체전으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그럼에도 IOC는 상업적 이유 때문에 도쿄 올림픽을 강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올림픽에 참가하는 해외 선수단의 훈련 캠프로 선정된 일본 내 수십 개의 도시들은 계획을 취소한 상태다. 하지만 올림픽이라는 글로벌 상품을 보유하고 있는 독점적 비영리 기관 IOC의 올림픽 개최 의지는 흔들리지 않고 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팔레스타인계 무장 조직 '검은 9월단' 테러 사건이 발생한 뒤 당시 IOC 위원장이었던 에이브리 브런디지는 "어떤 일이 있어도 뮌헨 올림픽의 나머지 경기는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올림픽 경기는 계속돼야 한다(The Games must go on)'는 IOC의 강력한 의지는 도쿄 올림픽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image
이종성 교수.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