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냥의 시간' 넷플릭스行의 의미..韓영화산업 변화 예고

전형화 기자 / 입력 : 2020.03.27 11:21
  • 글자크기조절
image


한국영화계와 넷플릭스의 동거가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 23일 넷플릭스와 리틀빅픽쳐스는 '사냥의 시간'을 4월 10일 넷플릭스를 통해 단독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사냥의 시간'은 190여개국에 29개 언어 자막으로 서비스될 예정이다.


'사냥의 시간'은 '파수꾼'으로 주목받은 윤성현 감독이 9년여만에 내놓은 신작으로 영화계 안팎의 주목을 받았다. 새로운 인생을 위해 위험한 작전을 계획한 네 친구들과 이를 뒤쫓는 정체불명의 추격자의 이야기를 담아낸 추격 스릴러다. 이제훈, 안재홍, 최우식, 박정민 그리고 박해수 등이 출연했다. 베를린국제영화제 스페셜 갈라 섹션에 초청돼 한국보다 먼저 베를린에서 소개됐다.

그랬던 '사냥의 시간'이 극장이 아닌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하게 된 건, 코로나19 때문이다. '사냥의 시간'은 2월 26일 개봉이었으나 코로나19에 대한 우려로 극장 관객이 급감하자 개봉일을 연기했다. 이후 극장 개봉을 계속 고려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극장 일일 관객수가 2만여명대로 줄어들자 결국 넷플릭스행을 택했다.

'사냥의 시간'이 극장 개봉은 물론 IPTV 등 VOD 서비스마저 포기하고 넷플릭스에서 공개하는 건, 한국영화사에 전례 없는 일이라 주목된다. 코로나19 때문에 생겨난 새로운 풍경인 탓이다.


넷플릭스는 현재 '사냥의 시간'을 마치 넷플릭스 오리지널처럼 4월10일 공개한다고 알리고 있다.

그간 한국영화계와 OTT서비스업체인 넷플릭스는 다양한 협업을 해왔다. 단순히 한국영화를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게 아니라 투자와 제작, 해외 독점 공개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손잡고 있다.

봉준호 감독이 '옥자'를 넷플릭스로 선보였으며, '킹덤'은 '터널' 등을 연출한 김성훈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한국 영화제작사가 제작에 참여했다. '남한산성' 황동혁 감독의 '오징어게임', 정우성이 제작자로 참여하는 SF영화 '고요한 바다'가 넷플릭스에서 만들어지는 등 한국 유수의 영화감독과 제작자, 배우, 스태프 등이 넷플릭스와 손잡는 일이 점점 더 늘고 있다.

뿐만 아니다. 한국을 제외한 해외 시장에 판권을 파는 대신 넷플릭스틀 통해 한국영화가 공개되는 사례가 속속 늘고 있다. 사실 유명 감독 영화나 한국형 블록버스터가 아닌 여느 한국영화들은 해외 판권 판매 금액이 그다지 높지 않다. 해외 판매 성과를 금액이 아닌 판매 국가로 공개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넷플릭스는 그 점을 파고들고 있다. 전체 해외 판권 판매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제시하면서 한국을 제외한 전세계 스트리밍 서비스 독점권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영화가 해외에는 극장이 아닌 넷플릭스를 통해 선보이게 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기도 하다. 돈도 돈이지만 더 많은 나라에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영화를 선보일 수 있는 건, 창작자 입장에선 상당히 매력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사냥의 시간'은 그런 점에서 상징 같은 사례다. '사냥의 시간'은 투자배급사인 리틀빅픽쳐스가, 해외 세일즈사인 콘텐츠판다를 통해 해외 30여개국에 선판매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넷플릭스에 독점권을 넘겼다. 콘텐츠판다는 신뢰를 깨뜨렸다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코로나19 여파로 벌어진 사건이지만, 한국영화산업의 일대 변화를 예고하는 사건이기도 하다.

'사냥의 시간'과는 달리 3월 개봉 예정이었다가 코로나19로 미룬 '결백' '침입자' 등은 여전히 극장 개봉을 준비 중이다. '결백' 투자배급사 씨네그루키다리이엔티, '침입자' 투자배급사 에이스메이커 등은 극장이 살아야 한국영화가 산다는 이유로, 투자사인 동시에 배급사란 실리로, 아직은 극장 개봉을 염두에 두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CGV,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들이 극장문을 닫고 있는데다 상황이 최악으로 치달으면 선택의 여지가 많지는 않다. '결백' '침입자' 등은 초중고 개학이 예정대로 4월6일 이뤄지면 4월 중순 개봉을 염두에 두고 있다. 개학이 또 다시 연기되면 사실상 답이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게 된다. '사냥의 시간' 넷플릭스행이 남의 일이 아니게 될 수 있다.

비단 넷플릭스만이 아니다. 넷플릭스에 자극받은 OTT서비스업체가 연이어 출범하면서 한국영화들에게 OTT는 또 다른 플랫폼이 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CJ ENM에서 물적분할하는 OTT업체 티빙은 JTBC와 손잡고 올 상반기 합작법인 OTT서비스를 출범할 전망이다. 지난해 하반기 지상파 3사와 SK텔레콤 간 통합 OTT 플랫폼인 웨이브가 출범한 데 이은 것이다. 올 하반기 또는 내년에는 디즈니플러스의 한국진출도 이뤄질 것 같다.

한국영화라는 콘텐츠로선 극장이 아닌 다른 플랫폼으로 유통할 수 있는 여지가 점점 더 커지는 셈이다. 영화는 극장에서 보는 것이란 전통적인, 기술적인, 여가로서 형태가 코로나19 여파로 변화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과연 코로나19로 달라지는 세상 속에서 한국영화산업이 어떻게 바뀔지, 위기와 변화는 늘 같이 오는 법이다.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