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 명예회장 "FIFA 자격정지 제재 치졸, CAS에 제소·투쟁할 것" (전문)

신문로=김우종 기자 / 입력 : 2017.04.06 10:00
  • 글자크기조절
image
정몽준 전 대한축구협회장. /사진=대한축구협회 제공





정몽준(66) 전 국제축구연맹(FIFA) 부회장이 FIFA의 자격 징계 조치와 관련해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소하겠다고 밝혔다.


정몽준 FIFA 부회장 겸 현 대한축구협회 명예회장은 6일 오전 10시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에 대한 FIFA의 제재와 관련, CAS 제소 입장을 밝혔다.

앞서 FIFA 윤리위원회는 정 명예회장이 '오는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를 위한 활동을 하면서 7억7700만달러(약 9천2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축구 발전을 위해 쓸 것'이라는 서한을 2010년 FIFA 집행위원들에게 발송한 게 부적절하다고 문제 삼은 바 있다.

FIFA는 지난해 7월 정 명예회장의 혐의에 대한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판단, 징계 수위를 '6년 자격정지-벌금 10만스위스프랑(약 1억2000만원)'에서 '5년 자격정지-5만스위스프랑(약 6000만원)'으로 낮춘 바 있다.


지난달 23일 정 전 부회장은 FIFA 항소위원회로부터 CAS 제소에 필요한 항소 결정 설명문(reasoned decision)을 전달받았다. CAS 제소를 위해서는 이 항소 결정 설명문이 필요한데 FIFA는 9개월 만에야 보내왔다. 이날 정 명예회장은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CAS 제소 입장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정 명예회장은 "FIFA 제재에 대한 저의 대응은 개인의 명예회복을 위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축구를 사랑하고 FIFA 부회장을 17년 간 지낸 사람에게 주어진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 제소를 비롯한 모든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FIFA의 회장이 바뀌었지만 블래터가 심어둔 윤리위와 항소위의 주요 인사들은 아직 그대로 남아 있다. 블래터의 시대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CAS 제소를 비롯한 모든 방안을 찾을 것"이라면서 "이 모든 일을 꾸민 블래터 전 회장과 거짓말로 저를 모함하는 등으로 저의 부당한 징계에 관련된 인사들에게 형사 고소· 고발과 손해배상청구 등 응분의 법적 책임도 물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설명문을 늦게 보낸 것에 대해서도 "체육계의 최종 중재기구인 CAS에 제소하기 위해서는 이 설명문이 필요한데, 지난해 11월에는 제가 직접 편지를 써서 설명문을 빨리 보내달라고 촉구했음에도 FIFA 항소위는 아무런 해명도 없이 설명문을 주지 않다가 이제야 보냈다"면서 "1심인 윤리위도 결정 설명문을 6개월이나 지난 뒤 보냈기 때문에 CAS에 제소하는 일은 제재가 발효된 날로부터 18개월 지난 뒤에나 가능하게 됐다. 비유하자면 어느 특정 피고인에 대해 사형을 집행케 한 재판부가 판결문을 18개월 뒤에 보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야말로 치졸한 행태가 아닐 수 없다. 서양 격언에 ‘Justice delayed is Justice denied’, 즉 ‘지체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라는 말도 있듯이 이렇게 시간을 끈 것 자체가 비윤리적인 일이다"며 분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image
정몽준 대한축구협회 명예회장이 6일 신문로 축구회관 2층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에 앞서 정 회장이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김우종 기자


다음은 정몽준 명예회장의 기자회견 전문

국제축구연맹(FIFA)이 새로운 지도부 아래 개혁을 시도하고 있으나 FIFA의 윤리위원회(Ethics Committee)는 여전히 블래터의 ‘청부업자(hitmen)’를 자임하는 듯한 행태를 보여서 실망스럽습니다.

FIFA의 회장이 바뀌어서 FIFA가 다시 존경받는 국제기구로 변신할 것을 기대하고 있지만 블래터가 심어둔 윤리위와 항소위의 주요 인사들을 보면 FIFA의 개혁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FIFA 제재에 대한 저의 대응은 개인의 명예회복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축구를 사랑하고 FIFA 부회장을 17년을 지낸 사람에게 주어진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 제소를 비롯한 모든 방안을 강구할 계획입니다.

FIFA 항소위원회(Appeal Committee)는 지난 3월 24일 저에게 항소 결정 설명문(reasoned decision)을 보내왔습니다. 지난해 7월, 항소위원회가 5년 제재 결정을 통보한 뒤 9개월 만입니다.

체육계의 최종 중재기구인 CAS에 제소하기 위해서는 이 설명문이 필요한데, 지난해 11월에는 제가 직접 편지를 써서 설명문을 빨리 보내달라고 촉구했음에도 FIFA 항소위는 아무런 해명도 없이 설명문을 주지 않다가 이제야 보냈습니다. 1심인 윤리위도 결정 설명문을 6개월이나 지난 뒤 보냈기 때문에 CAS에 제소하는 일은 제재가 발효된 날로부터 18개월 지난 뒤에나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어느 특정 피고인에 대해 사형을 집행케 한 재판부가 판결문을 18개월 뒤에 보내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야말로 치졸한 행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반면 플라티니 전 유럽축구연맹(UEFA) 회장과 블래터 전 FIFA회장은 지난해 2월에 항소위원회 결정이 나온 후 곧바로 결정 설명문을 받아 CAS에 제소했습니다.

FIFA 윤리위와 항소위는 ‘투표 담합(vote trading)’이나 ‘이익 제공(appearance of offering benefits)’이라는 실체적 문제로 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가 벽에 부딪히자 FIFA 편지용지를 사용했다느니, 조사에 협조하지 않았다느니, 하는 형식적이고 절차적인 문제로 시비를 걸고 있습니다.

윤리위와 항소위가 저에게 적용한 대표적 윤리규정은 13조의 ‘일반적인 행동 규범(general rules of conduct)’인데 이 조항은 윤리적 태도(ethical attitude)와 완벽한 신뢰(complete credibility) 같은 것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행동 규범과 윤리, 그리고 신뢰를 따지는 사람들이 왜 결정 설명문 하나 보내는 데 시간을 끌어서 결국 18개월이나 지난 뒤 CAS에 가게 하는지 묻고 싶습니다. 서양 격언에 ‘Justice delayed is Justice denied’, 즉 ‘지체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라는 말도 있듯이 이렇게 시간을 끈 것 자체가 비윤리적인 일입니다.

FIFA는 2015년 10월 1심에서 제재 6년을 결정했고, 2심인 항소위에서는 일부 저의 반론을 받아들였지만 1심과 비슷한 결론을 유지한 채 제재 5년을 결정했습니다.

FIFA 윤리위와 항소위는 처음에는 거창한 혐의를 내세워서 조사 또는 심리를 하다가 제가 반론을 제기하면 그것은 취하하면서도 다시 다른 부차적인 이유를 내세워 제재를 강행했습니다. 제재는 기정사실화해 놓고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구실을 찾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형국입니다.

2015년 10월 FIFA 윤리위가 1심에서 어떠한 축구 관련 일에도 관여할 수 없도록 하는 제재 6년을 결정한 이후 저는 FIFA의 부당한 조치로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법적 조치를 통해 FIFA의 잘못을 바로잡으려 하고 있으나 이미 1년반의 시간이 흘러버렸고 CAS의 최종 결론이 날 때까지 또 시간이 경과할 것이기 때문에 사실 저에게는 실익이 크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제가 FIFA 구세력과의 싸움을 계속하는 것은 이러한 노력이 FIFA의 새로운 출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1994년 FIFA 부회장에 당선된 이후 저는 줄곧 FIFA 개혁을 요구했으나 블래터의 사람들에 의해 부당한 보복을 당했습니다. 블래터 회장의 ‘청부업자’라고 불리는 FIFA 윤리위는 당초 제기했던 혐의로 저를 얽어맬 수 없게 되자 ‘조사 비협조(violation of the duty of cooperation)’와 같은 조사 과정에서의 문제 등을 이유로 6년 제재를 가했습니다. 무고한 사람을 도둑으로 몰더니 이에 항의하자 공무집행방해로 처벌하겠다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FIFA 윤리위는 블래터 회장이 사실상 임명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블래터는 2015년 12월, NY 데일리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이 사람들을 자리에 앉혔다. 그들이 현재 윤리위에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FIFA 윤리위에 대해 뉴욕타임즈는 “FIFA와 ‘윤리’라는 단어는 가장 모순(oxymoron)되는 관계”라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2015년 7월 열린 미 상원 청문회에서 리차드 블루멘탈 상원의원은 “(FIFA는) 스포츠에 있어서 마피아식 범죄조직”이라면서 “마피아도 그렇게 뻔뻔하게 부패를 저지르지 않기 때문에 그 용어를 사용하는 게 마피아에 대한 모욕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습니다. FIFA의 부패를 파헤친 책, ‘파울(FOUL)’의 저자인 앤드류 제닝스 기자는 같은 청문회에서 FIFA 윤리위를 ‘블래터의 살인청부업자(hitmen)’라고 했습니다. 비자-마스터카드 사건을 담당했던 미국 법원의 로레타 프레스카 판사는 판결문에서 FIFA가 거짓말을 했다는 표현을 13번이나 쓰고 “FIFA의 행동은 결코 페어플레이가 아니다”라고 하면서 FIFA를 질타했습니다.

FIFA 윤리위는 이렇게 혹독하게 비판하고 있는 언론과 미 상원의원, 판사 등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응도 못했습니다. 그들 말대로 독립적이고 떳떳하다면 전세계의 축구인을 위해서라도 이런 모욕을 참아서는 안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반면 FIFA 윤리위는 FIFA의 부패를 비판하고 개혁을 요구하는 내부 인사에 대해서는 가혹하게 보복을 하고 있습니다. 17년간 FIFA 부회장을 지냈고, 27년간 한국에서 국회의원을 한 저로서는 외부에는 약하고 내부에만 강한 FIFA 윤리위의 이중적이고 위선적인 태도에 분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2년 전인 2015년, 미국과 스위스 사법당국이 월드컵 중계권 부정 판매 등과 관련해 FIFA에 대한 수사를 본격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블래터가 회장직에서 사임했고, 곧이어 새로운 회장을 뽑기 위한 선거 운동이 시작됐습니다. 제가 출마를 준비하고 있을 당시, FIFA 내부에서는 블래터가 자기 사람들로 구성된 윤리위를 통해 저의 FIFA 회장 출마를 막으려 한다는 소문이 공공연하게 돌았습니다. 저도 세 명으로부터 이런 얘기를 들었습니다. FIFA의 현직 부회장 한 명과 한 대륙축구연맹의 법률고문이 각각 다른 자리에서 이 소문을 전해주었습니다. 유력한 언론사의 기자는 취리히의 FIFA 담당 기자들 사이에도 그런 소문이 돌고 있다고 알려주기도 했습니다.

1994년 FIFA 부회장을 맡은 이후 17년간, 저는 불투명한 월드컵 중계권 판매 과정의 문제점, 그동안 아무도 모르고 있던 회장의 보수 공개, 비자카드에 특혜를 주기 위해 서류를 위조하고 거짓말을 했다가 기존 후원사이던 마스터카드에게 거액을 배상했던 사건에 대한 해명, 회계 감사를 위한 특별기구 구성 등 블래터가 듣기 싫어할 만한 지적과 주장을 많이 했습니다. 저를 비롯한 FIFA 내부 인사들의 비판에 직면한 블래터는 2011년 4선에 도전하면서 마지막 임기가 될 것이라고 했으나 2015년 약속을 번복하고 다시 출마했습니다. 회장 선거를 앞둔 2015년 초, FIFA 윤리위는 때맞추어 저를 조사하기 시작했습니다. FIFA의 부패 척결과 투명성 확보를 외쳐온 저에 대한 블래터의 공격이었습니다. 소문대로 윤리위는 2015년 10월 초 저에 대한 제재를 결정했고, 저는 출마를 봉쇄당했습니다.

이 모든 일들을 시간 순서대로 되돌아보겠습니다.

2014년 3월, FIFA 윤리위의 보벨리 부위원장(현 위원장)은 한승주 전 한국 2022월드컵 유치위원장을 만나 “당신과 당신 팀에 대한 혐의는 없다”고 분명히 말했습니다.(별첨 1) 그러나 FIFA회장 선거가 예정되어 있던 2015년에 들어서자마자 윤리위는 ‘확실한 증거가 있는 사건(prima facie case)’이라면서 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습니다.(별첨 2)

FIFA 윤리위가 내세운 혐의는 두 가지였습니다. 하나는 2010년 있었던 2018년과 2022년의 월드컵 개최지 결정 과정에서 제가 영국(England)과 ‘투표 담합’을 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2022월드컵 유치를 위해 제가 동료 집행위원들에게 편지를 보내 그들에게 이익제공 의사를 표시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투표 담합’이란 2022월드컵을 신청한 한국과 2018월드컵을 신청한 영국이 서로에게 투표를 해주기로 했다는 것입니다. FIFA 윤리위는 영국의 톰슨 집행위원이 가르시아 윤리위원장과 했던 인터뷰에서 ‘투표 담합’을 인정했다고 하면서 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지만 제가 다음과 같이 톰슨 주장의 허구성을 지적하자 취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저는 톰슨이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주장한 날, 즉 개최지결정 투표 하루 전날, 잉글랜드 측의 요청에 따라 윌리엄 왕자의 방에서 캐머런 총리, 톰슨 집행위원을 우리 측 이홍구 전 총리와 함께 만난 적이 있었는데 그런 공개적 자리에서 담합이 이루어질 수 있겠느냐고 반박했습니다. 또 톰슨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윌리엄 왕자와 캐머런 총리도 조사를 하고 있느냐고 물었습니다. FIFA가 저에게 보낸 톰슨과 조사위와의 인터뷰 기록에 의하면 톰슨은 그 자리에 윌리엄 왕자가 있었다는 것조차 기억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앞서 FIFA는 개최지결정 투표를 앞두고 톰슨과 투표담합을 협의하기 위해 특정시점에 FIFA 본부가 있는 취리히에 간 적이 있느냐고 제게 질의를 해왔습니다. 여행기록을 찾아보니 FIFA 윤리위가 혐의를 두고 있었던 그 때 취리히에 간 사실이 없었습니다. 반박할 수 있는 이런 뚜렷한 근거가 없었다면 꼼짝없이 덫에 걸릴 뻔했습니다.

담합 자체도 없었지만 원천적으로 그런 논란이 있었다는 것이 블래터의 책임입니다. 월드컵은 원래 개최 6년 전에 개최지를 결정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블래터가 2008년 느닷없이 이를 8년·12년 전에 그것도 두 개의 월드컵 개최지를 한꺼번에 결정하겠다고 한 것입니다.

올림픽은 통상 개최 7년 전에 개최지를 결정합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갑자기 개최지를 2~3개 묶어서 15년 전에 결정하겠다고 하면 혼란과 비난이 얼마나 크겠습니까. 2010년에 월드컵 개최지 결정을 두고 벌어진 일련의 사태를 보면, 블래터 본인이 불을 질러놓고 “불이야” 하며 소리를 지르는 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FIFA 윤리위가 두 번째로 문제 삼았던 것은 2010년 제가 집행위원들에게 편지를 보내 한국 2022월드컵 유치위의 공약을 설명한 일이었습니다. 2010년 10월 한승주 당시 한국 유치위원장은 런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제축구기금(GFF)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이 내용은 많은 언론에 보도되어 공지의 사실이 되었고, 저는 나중에 동료 집행위원들에게 이 공약을 상기시키기 위해 편지를 썼던 것입니다. 당시 FIFA는 제가 동료 집행위원들에게 편지 보낸 것이 문제가 되는지의 여부를 검토했습니다. 상당한 조사 후에 발케 사무총장은 저와 한승주 전 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내 “우리는 유치과정의 정당성이 영향 받지 않았다고 보고 이 문제를 종결키로 했다”고 밝혔습니다.(별첨 3)

FIFA 윤리위는 제가 집행위원들에게 보낸 편지가 ‘이익제공으로 보이는 행위(appearance of offering benefits)’를 금하는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시비를 걸기 시작했지만 정작 이 규정은 편지를 보냈던 시점인 2010년에는 존재하지도 않았습니다. ‘이익제공으로 보이는 행위’라는 규정은 2012년 만들어진 윤리규정에 새로 들어간 내용입니다. FIFA는 2018년과 2022년 월드컵 개최지의 동시 결정 이후 시비가 끊이지 않자 2012년에 새로운 윤리규정을 만들었습니다. 이 새로운 규정을 근거로 법치의 기본인 소급적용 금지 원칙마저 위반해가면서 저를 얽어매려 했던 것입니다.

FIFA 윤리위 1심은 ‘이익제공’ 부분은 명백한 소급적용이어서 기각한다고 하면서도 그 대신 이번에는 편지 보낸 것 자체를 문제 삼았습니다. FIFA 집행위원으로서 한국의 2022년 월드컵 유치를 위해 활동한 것이 부적절했다면서 이를 핵심적인 제재 이유로 내세웠습니다.

2010년 당시 발케 사무총장이 조사를 마친 뒤 저에게 서한을 보내 아무 문제가 없다고 했던 일을 2012년 새로 만들어진 윤리위가 뒤늦게 문제 삼은 것입니다. 윤리위와 항소위의 주장대로 2012년부터 ‘독립적’ 윤리위가 만들어졌다면 그 이전에는 독립적 윤리위가 없었던 것이고 당연히 사무총장의 결론은 FIFA 전체의 입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별첨 4) 따라서 이 사안을 다시 문제 삼는 것은 일사부재리 원칙에 어긋날 뿐 아니라 교묘한 사실상의 소급적용입니다.

요즈음은 사정이 어떤지 궁금하지만 2010년 당시에는 FIFA 집행위원들이 자국의 월드컵 유치를 위해 활동하는 것이 관행이었고 그것을 금지하는 규정도 없었습니다. 잉글랜드의 제프 톰슨, 스페인의 앙겔 마리아 빌라, 벨기에의 미셀 두게, 카타르의 모하메드 빈 함맘, 일본의 준지 오구라, 러시아의 비탈리 무트코 집행위원 등은 모두 자국의 유치를 위해 열심히 공개적으로 활동했습니다. 일본의 오구라 집행위원과 러시아의 무트코 집행위원은 심지어 투표 직전 자국의 프리젠테이션 때 직접 나와 자국 유치의 필요성과 의미를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인판티노 FIFA 회장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앞으로 최대 3~4개국이 월드컵을 공동으로 개최토록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집행위원회도 평의회로 바뀌면서 기존 24명에서 37명으로 인원이 늘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유치를 희망하는 국가도 많아지고 평의회 의원도 많아지는 것입니다. 앞으로 개최국 선정은 평의회가 3개 후보지를 추천한 뒤 총회가 최종 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는데 그렇게 된다면 평의회 의원들은 FIFA 활동을 하면서 자국 유치를 위해 노력하게 될 가능성이 과거보다도 높아질 것입니다. 향후의 추세를 보아도 그렇고 2010년 당시의 상황을 보아도 집행위원이 자국 유치를 위해 노력한 것이 문제가 될 수는 없는 것입니다.

FIFA 윤리위는 2010년 집행위원들에게 보낸 편지를 ‘이익 제공’으로 몰아가려던 시도가 실패하자 FIFA 편지용지를 사용한 것을 문제 삼았습니다. FIFA 부회장 자격으로 한국지지 요청 편지를 쓴 것이 부적절했다는 주장입니다.

저는 한국 유치위원회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2022년 월드컵을 한국에서 개최하는 것이 한국의 이익 뿐 아니라 FIFA의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평소 동료 집행위원들에게 쓰던 것과 마찬가지로 FIFA 용지를 사용했던 것입니다. 만약 FIFA 용지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윤리위는 무슨 핑계를 대서라도 시비를 걸었을 것입니다.

이미 한승주 한국 유치위원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고 언론보도를 통해 공지의 사실이 된 내용이었기 때문에 이것을 동료 집행위원들에게 상기시키기 위한 편지를 쓰면서 편지용지까지 신경을 썼다면 그것이 오히려 이상한 행동이었을 것입니다. 윤리위와 항소위의 논리대로라면 FIFA 유니폼을 입고 한국 유치에 관해 얘기해도 안 되는 식이고, FIFA 건물에서 그런 대화를 나누어도 안 된다는 식입니다. 같은 논리로 월드컵 경기 때 FIFA 집행위원석에 앉아서 한국팀을 응원하면 윤리규정 위반이 될 것입니다.

FIFA의 초청으로 항공권과 숙식을 제공받았는데 공개적인 장소에서 어느 특정팀을 응원한다면 명백한 윤리규정 위반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것을 윤리규정 위반이라고 생각할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형식이 아니라 그 내용입니다. 뇌물을 준다든지 다른 불법적 제안을 한다면 형식이 어떻든 명백하게 윤리규정, 또는 법률의 위반이 될 것입니다. FIFA 윤리위와 항소위는 저를 얽어매기 위해서 옹색한 논리를 동원하고 있습니다.

조사 과정에서 제가 블래터 회장에게 편지를 보내 부당한 조사에 항의했는데, FIFA 윤리위는 이것도 문제 삼았습니다. 블래터에게 편지를 보낸 것 자체가 조사받고 있다는 사실을 윤리위 외부에 공개한 것이어서 ‘비밀 준수(confidentiality)’ 의무 위반이라는 주장이었습니다. 또 윤리위와 상관없는 블래터 회장에게 편지를 보내 조사 중단을 요구한 것이 부적절한 행동이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그러나 FIFA 윤리위가 1심 결정 설명문에서 “FIFA의 모든 임직원은 대처해야 할 어떤 문제가 있다고 느끼면 회장에게 편지를 쓸 권리가 있다.(Every official of FIFA has the right to write to the President if he feels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addressed.)”고 밝혔듯이 FIFA 구성원이 내부 문제에 관해 회장에게 편지를 보내는 것은 당연한 권리입니다.(별첨 5) 또 윤리위는 스스로가 블래터로부터 독립되어 있다고 주장하지만, 블래터는 언론 인터뷰에서 “내가 이 사람들을 자리에 앉혔다. 그들이 현재 윤리위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블래터가 이러한 윤리위를 이용해 저에게 보복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블래터에게 보복 중단을 요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비밀 준수’ 의무와 관련해 중요한 것은 FIFA 윤리규정상 조사하는 주체는 비밀을 준수하도록 되어 있지만 조사 받는 사람에게는 비밀 준수 의무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조사 받는 사람은 방어권을 제대로 행사하기 위해 FIFA 외부 인사들의 조력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스스로 조사 사실을 공개해서 얻는 실익도 없습니다. 결국 ‘비밀 준수’ 위반 부분은 2심인 항소위에서 무혐의 처리 됐습니다.

그렇지만 FIFA 항소위는 ‘비밀 준수’ 부분을 기각한다고 하면서도 그 대신 블래터에게 쓴 편지의 내용을 문제 삼았습니다. 모든 FIFA 구성원은 어떤 ‘문제’가 있다고 느낀다면 회장에게 편지를 쓸 권리가 있다고 해놓고는 정작 ‘문제’를 지적하자 편지에 그런 내용을 담는 것은 안 된다고 주장하는 모순입니다. 의사표현의 자유를 준다고 하면서도 다만 다른 의견을 내놓아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항소위는 제가 관련 조사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치적 수단(political means)을 사용했다며 이것이 윤리규정 위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FIFA는 과연 어떤 조직인지 우리 함께 생각해보았으면 합니다. 기본적으로 FIFA는 정치적 기구입니다. FIFA 회장과 집행위원, 각국 협회장은 각각 선거라는 정치적 절차를 통해 선출됩니다. ‘정치적’이라는 수식어를 나쁘게만 볼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FIFA 항소위가 말하는 ‘정치적 수단’은 부당한 압력이란 나쁜 뜻으로 쓴 것이지만, 정치적 기구인 FIFA의 책임자에게 정치적 보복으로 하는 조사를 중단하라고 하는 것이 ‘정치적 수단’을 의미한다면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FIFA 윤리위와 항소위는 저에 대한 혐의를 주장하다가 제가 논리적으로 반박하면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면서 해당 혐의를 취하하는 것처럼 하다가 다른 부차적인 이유를 혐의로 내세우는 전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2010년 집행위원들에게 보낸 편지에 대해서도 처음에는 ‘이익 제공’이라고 했다가 제가 소급적용이라고 강력히 반론을 펴자 ‘이익 제공’은 취하하는 대신 FIFA 부회장 자격으로 한국의 공약을 설명하는 편지를 보낸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이유로 제재를 가했습니다.

블래터에게 보낸 편지에 대해서도 FIFA 윤리위는 “FIFA의 모든 임직원은 대처해야 할 어떤 문제가 있다고 느끼면 회장에게 편지를 쓸 권리가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그 내용과 숨은 의도는 문제가 된다.”고 모순되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저를 제재하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이런저런 이유를 찾기에 급급한 모습입니다.

제가 FIFA회장 출마를 선언하면서 “윤리위원장 후보를 FIFA회장의 추천(nomination)이 아니라 독립된 별도의 위원회에서 추천토록 하자”는 제안을 선거홍보물에 게재했더니 윤리위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혐의가 덧붙여졌습니다. 윤리위는 독립적인데 그렇지 않은 것처럼 묘사했다는 것입니다.

저에 대해 당초 15년 제재를 구형했던 윤리위 조사국은 명예훼손을 이유로 4년 제재를 추가 구형했습니다. 모두 19년 제재를 구형한 것입니다. 윤리위가 그처럼 독립적이라면 “내가 이 사람들을 자리에 앉혔다. 그들이 현재 윤리위에 있다”고 한 블래터야말로 명예훼손으로 바로 조사하고 징계해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선거과정의 당연한 정책제안마저 저에 대한 공격의 빌미로 삼는 FIFA 윤리위의 행태는 블루멘탈 미 상원의원의 말대로 ‘뻔뻔하게 대놓고 하는 오만한(blatant, overt, arrogant)’ 것입니다.

윤리위는 1심에서 이해 당사자는 재판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는 당사자 제척 원칙도 무시했습니다. 윤리위는 “윤리위원장 후보를 독립된 별도의 위원회에서 추천하도록 하자”는 저의 당연한 정책제안을 윤리위에 대한 명예훼손이라면서 혐의에 추가했습니다. 그렇다면 공동윤리위원장인 심판국장은 이 사안의 직접적인 당사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심판국장은 저의 제척 요청을 무시한 채 1심을 주재했습니다. 사법절차의 기본 원칙을 무시한 1심은 근본적으로 무효입니다. 항소위는 자신들이 보아도 지나치게 무리한 적용이라고 판단한 모양인지 뒤늦게 ‘명예훼손’ 부분은 무혐의 처리했습니다만, 명예훼손만이 아니라 1심 자체가 무효화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FIFA 윤리위와 항소위는 조사 받는 사람과 조사하는 사람이 동등한 정보접근권을 갖는다는 FIFA 윤리규정 39조를 지키지 않고 윤리위가 보고 있는 자료를 같이 보게 해달라는 저의 요구를 거부했습니다. 윤리위는 제가 동료 집행위원들에게 보낸 편지를 문제 삼으면서 그 근거로 블래터와 발케 당시 사무총장이 2014년 4월 윤리위 조사관과 했던 인터뷰를 내세웠습니다.

발케는 2010년 11월, 편지 문제에 대해 내부 검토를 마친 뒤 저와 한승주 유치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내 “유치과정의 정당성이 영향 받지 않았다고 보고 이(편지) 문제를 종결하기로 했다”고 통보했습니다. 그럼에도 두 사람은 인터뷰에서 그런 편지가 있었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하면서 저를 비난했습니다. 저는 이들의 인터뷰 내용이 왜곡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인터뷰 녹취록 전체를 보내줄 것을 윤리위에 요청했지만 거절당했습니다.

FIFA 윤리위와 항소위는 조사과정의 비협조를 제재 결정의 또 다른 근거로 들고 있으나 이는 본말이 전도된 것일 뿐 아니라 사실과도 합치하지 않는 것입니다. FIFA 윤리위는 제가 서울시장에 출마했던 2014년 초, 조사를 하겠다고 알려왔습니다. 출마선언과 당내 경선 준비, 그리고 실제 선거 운동 등 중요한 일들이 산적했기 때문에 FIFA 윤리위 인사와 장시간 인터뷰하기 위해 사전에 그 일정을 잡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대통령선거만큼이나 중요한 서울시장 선거의 특성상 1주일 앞의 일정도 미리 계획하는 것이 쉽지 않은 급박한 상황이 많았습니다. 몇 차례 서로 편리한 일정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서울시장 선거를 두 달 정도 앞둔 4월, 직접 인터뷰 대신 서면답변을 보내달라고 FIFA가 요청해옴에 따라 답변서를 보냈습니다.

저로서는 FIFA 조사에 최대한 성실하게 협조했으나 FIFA 윤리위와 항소위가 이러한 전체적인 상황을 무시한 채 결론에 짜 맞추기 위한 주장을 펴는 것은 실망스러운 일입니다.

FIFA 윤리위는 2015년 10월초 열린 1심에서, 당초 제기했던 ‘투표 담합(vote trading)’이나 ‘이익 제공(offering benefits)’ 등의 혐의가 아니라 ‘윤리적이지 않은 행동(not in line with an ethical attitude and with credibility and integrity)’과 같은 모호한 규정과 절차적 문제들을 근거로 제재 6년을 결정했습니다.

FIFA 항소위원회는 2016년 7월 초, ‘비밀 준수’ 위반과 명예훼손 부분만 저의 입장을 받아들여 무혐의로 인정한 채 1심과 비슷한 제재 5년을 가했습니다. 그리고는 결정 설명문을 보내는 데 9개월을 흘려보낸 것입니다. 항소위원장은 블래터 시절에 선임된 인사입니다.

FIFA 제재에 대한 저의 대응은 1994년 이래 지속되어온 FIFA 개혁을 위한 외로운 투쟁의 연장입니다. 블래터는 도덕적 비난 정도가 아니라 형사 범죄에 해당하는 수준의 부패를 저질렀습니다. 블래터는 사무총장 시절이던 1990년대, 월드컵 중계권을 갖고 있던 ISL로부터 아벨란제 회장이 뇌물을 받은 것을 알고도 눈감아주었습니다. 블래터는 또 비자카드에게 후원사 선정 혜택을 주기 위해 기존 후원사인 마스터카드를 속이고 서류를 위조하기도 했습니다. 이 때문에 FIFA는 마스터카드에 6천만 달러를 배상했습니다. 블래터가 2011년 자신을 지지해주는 대가로 플라티니 전 UEFA 회장에게 뇌물을 준 혐의에 대해서도 사법당국이 수사를 했습니다. 그의 행태에 비춰볼 때 드러나지 않은 범죄 사실도 많을 것입니다.

FIFA 윤리위는 블래터의 비리에 대해서는 사법당국이 오랜 기간 수사를 하고 언론이 보도를 해도 어떠한 조치도 하지 않았습니다. 스위스 사법당국은 2005년 ISL 뇌물 사건과 관련해 FIFA 본부를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벌였습니다. 앤드류 제닝스 기자는 저서 ‘파울’을 통해 1998년 당시 블래터 사무총장이 ISL로부터 FIFA에 잘못 입금된 뇌물에 대해 알고 있었다는 사실을 폭로했습니다.

FIFA는 수사과정에서 아벨란제와 그의 사위였던 테이세이라 전 브라질 축구협회장이 1990년대 ISL로부터 수백억 원의 뇌물을 받아왔다는 내용의 문서를 사법당국에 제출했고, 아벨란제 측의 집요한 방해전략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대법원은 2012년 이 문서를 공개토록 했습니다. FIFA 윤리위는 이로부터 1년 후인 2013년에야 마지못해 ISL 뇌물 사건을 조사한 뒤 “블래터가 어설프게 처리했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사실상 아벨란제의 공범인 블래터에 대해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저에 대해서는 톰슨 영국 집행위원의 터무니없는 주장을 근거로 신속하게 조사하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부회장으로 재임하면서 지켜보니 FIFA 집행위원 가운데 블래터를 존경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오히려 경멸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다만 축구대회를 유치하거나 지원금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권력을 갖고 있는 블래터를 두려워했을 뿐입니다.

블래터는 회장 취임 후 월드컵을 2년에 한 번 열자, 재미있는 경기를 위해서 골대를 넓히자는 등 이상한 제안을 많이 했다가 저를 비롯한 집행위원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습니다. 저는 2002년 월드컵 유치를 앞두고 당시 아벨란제 회장과 블래터 사무총장이 이미 일본으로 기운 상황에서 이들에게 공정한 경쟁의 보장을 요구했고 그 이후로도 꾸준히 FIFA의 투명한 운영을 촉구했습니다.

FIFA의 회장이 바뀌었지만 블래터가 심어둔 윤리위와 항소위의 주요 인사들은 아직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블래터의 시대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CAS 제소를 비롯한 모든 방안을 찾을 것입니다. 이 모든 일을 꾸민 블래터 전 회장과 거짓말로 저를 모함하는 등으로 저의 부당한 징계에 관련된 인사들에게 형사 고소· 고발과 손해배상청구 등 응분의 법적 책임도 물을 것입니다.

FIFA의 부패 구조를 청산하고 진정한 개혁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인판티노 회장도 잘못된 과거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도와주기를 바랍니다.

FIFA가 진정한 개혁을 통해 전세계 축구팬의 사랑을 다시 찾을 수 있도록 작은 힘이나마 보태겠습니다. 축구팬과 언론인 여러분의 성원을 기대합니다.

2017년 4월 6일

정 몽 준
기자 프로필
김우종 | woodybell@mtstarnews.com

안녕하세요. 스타뉴스 김우종 기자입니다.

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