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량' 흥행이 못 마땅한 사람들에게

[전형화의 비하인드 연예스토리]

전형화 기자 / 입력 : 2014.08.06 10:01 / 조회 : 16043
  • 글자크기조절
image


'명량' 흥행이 못 마땅하십니까? '명량'이 극장을 도배하고 있는 게 불편하십니까? '명량'이 별로 재미없다고 했다가 잘난 척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까? '명량'을 지적했다가 이순신 장군을 모욕했다고 혼이 난적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당신은 잘못되지 않았습니다. 취향의 차이와 취향의 깊이를 이해받지 못하고 있을 뿐.

자고 일어나면 신기록입니다. 지난달 30일 개봉한 '명량'은 한국영화 흥행 신기록을 모조리 바꾸고 있습니다. 역대 최고 오프닝 스코어(68만명), 최단기간 200만 돌파(3일), 300만 돌파(4일) 400만 돌파(5일) 500만 돌파(6일) 600만 돌파(7일) 기록을 세우고 있습니다. 천만 돌파는 시간문제고, 역대 흥행1위인 '아바타'(1330만명)를 넘느냐 못 넘느냐가 남았을 뿐입니다.

그렇다고 '명량'이 최고의 영화냐면, 최고의 의미에 따라 갈릴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에겐 분명 구국의 영웅 활약을 그린 최고의 영화일 것이며, 어떤 사람들에겐 전쟁을 스펙터클하게 묘사하기 위해 많은 걸 희생한 영화일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에겐 "우리가 이렇게 개 고생한 걸 후손들이 알랑가"라는 대사가 큰 감동이고, 어떤 사람들에겐 너무 직접적이라 불편할 것입니다. 취향의 차이입니다. 취향의 깊이를 자랑할 순 있지만 취향의 깊이를 강요할 순 없습니다. 강요한다고 되는 일도 아니고. 취향이 다르다고 후지다고 하는 건 더욱 더 어리석은 일이죠.

'명량'은 기괴한 수작입니다. 장점이 이 만큼 뛰어나고, 단점도 그 만큼 뚜렷합니다. '명량'은 단순합니다. 이 단순함은 큰 힘입니다. '명량'은 오로지 명량해전 단 하나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외로움을 전반부에 담고, 후반부를 명량해전 단 하나를 그리는데 주력했습니다. 새로운 해석도, 이순신 장군에 대한 재해석도, 끼어들 틈이 없습니다.

착한 우리 편과 나쁜 저쪽 편도 명확합니다. 외로운 배 하나, 의로운 사람 한 명이, 수많은 적들과 맞설 때 어떤 기적이 벌어지는지 단순하고 명확하고 호쾌하게 그렸습니다. 회오리처럼 휘몰아치는 이 단순한 흐름은 사건과 사람을 이순신 단 한사람으로 몰고 갑니다.

그 탓에 이순신을 제외한 다른 캐릭터들이 어느 순간 사라져버립니다. 할 수 없죠. 감독의 선택이니.

'명량'에는 두 명의 위패가 등장합니다.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와 왜군 장수 구루지마의 형 위패죠. 두 위패는 사실 영화 전략상으론 비등하게 그려졌어야 했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임금의 시기로 한 차례 고문을 받고 풀려난 뒤 백의종군을 하는 와중에 심혈을 들인 부하장수들이 칠천량 해전에 모조리 죽었다는 소식과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습니다. 그에게 어머니 위패는 효와 충으로 이어지는 상징이죠.

구루지마는 형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개처럼 끌려가 죽었다고 분노합니다. 그러면서 이순신 장군에 대한 복수, 그리고 히데요시에 대한 복수를 꿈꿉니다. 그에게 형의 위패는 복수의 상징이죠. 이 상징들의 충돌은 '명량'에서 비중 있게 그려졌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아시다시피 '명량'에선 그저 이순신 장군만이 높이 그려집니다. 역시 감독의 선택이겠죠. 이 모든 것들을 오로지 명량해전으로 휘몰아치면서 승리의 서사를 만들었으니깐요.

이 승리의 서사가 관객들을 열광시키고 있으니 감독의 선택이 상업적으론 맞았다고 할 수 있겠죠.

'명량' 흥행이 애국주의와 교육효과 때문이라고들 합니다. 구세주 신드롬이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불편한 사람도 많습니다. 어쩌겠습니까. 애국주의가 싫어도 한국 사람이라면 어쩔 수 없이 가슴에서 뜨거운 게 치밀어 오릅니다. 노 젓는 민중에 가슴이 뜨거워지고, 승리를 기원하는 손에 눈물이 차오릅니다. 교육효과라고 해도 어쩌겠습니까. 명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안 죽는 걸 스포일러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구세주 신드롬이라고 해도 어쩌겠습니까. 세월호가 가라앉는 걸 본 사람들이 위기를 단 번에 해결해 줄 진정한 리더를 꿈꾸는 걸.

극장이 온통 '명량'으로 도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맞습니다. 그래도 아침부터 저녁까지 극장에 사람들이 꽉 들어차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극장에서 한 영화를 틀어대도 안 되는 영화는 안 됩니다. 그렇다고 한 영화가 이렇게 극장을 장악해도 된다는 소리는 아닙니다. 이건 탐욕입니다. '명량'이 330척이고, 다른 영화들이 12척이다는 소리는 괜히 나오는 게 아닙니다. 이건 문화창조가 아니라 문화파괴입니다. 불편하고 못마땅해야 마땅합니다.

'명량'은 이제 꼭 봐야 하는 영화가 돼버렸습니다. 안 보면 이야기에 낄 수 없는 영화가 됐습니다. 이만하면 사회현상입니다. 불편해도 사실입니다.

'명량'은 2014년 사회현상으로 기억될 것입니다. 왜 지금 이순신 장군이 이렇게 주목을 받을까요? 무엇이 '명량'에 열광하게 만들까요? 전 우리가 승리의 순간을 갈망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세월호는 2014년 4월16일 가라앉았습니다. 명량해전은 1597년 9월16일 일어났습니다. 같은 바다입니다. 바다로 가라앉은 배 한척으로 절망했던 대한민국이, 외로운 배 하나 의로운 사람 한 명이 이뤄낸 승리의 순간을 보고 기뻐하고 있습니다.

씁쓸하고 불편해도 사실입니다. 잊지 말아야 할 날들입니다. '명량' 흥행이 불편해도 받아들여야 할 이유입니다.

우리가 갈망하는 승리는 무엇에 대한 승리일까요?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